본문 바로가기

Color&Design/건축

경관색채연구







Exterior Color of Area Scenery 

(경관색채 연구)




아파트의 환경색채디자인은 주변의 자연적, 인공적 환경을 고려하여 지구, 단지 내 조닝, 외벽 및 지붕 등 건축용소별로 재료와 색채가 조화를 이루어 입주민과 지역주민의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주거환경 제고의 수단임은 문론이며, 아름답고 조화로운 도시경관을 형성하는 요소로써 원경, 중경, 근경의 시각적 인지 범주를 고려한 유기적인 계획과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최근 몇 년 사이 지역 고유성과 정체성을 담는 독창적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해, 많은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환경색채계획에 관한 내용의 경관기본계획,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등을 수립하였다. 



환경색채와 관련된 연구로는 경관 및 도시, 건축, 실내공간 등 공간 및 대상의 범주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특히 공동주택 등 아파트 외장색채는 고밀도, 고층화로 도시경관에 있어서 시각적 점유율이 높아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KCC color & Design Center 에서는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 색채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최근 도시경관과 관련한 색채환경의 관점에서

많은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사례 1.> 

부산 금정구 구서동 롯데캐슬 2단지 색채계획안




1. 주변 분석 

익스테리어 색채디자인을 기획하기 위해 주변 분석은 필수이다.

타켓을 중심으로 자연환경, 도시환경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주변 아파트 컬러 또한 검토해야 한다.






2. 지역 색채 가이드라인 조사 

색채디자인 대상 구역에 "지역 색채가이드라인"이 지정되어 있다면

그에 따른 지역 분류와 사용가능 색상 범위를 확인하고 반영한다.






3. 아파트 배치 및 색상 현황 조사 

현재 도장되어있는 컬러를 조사하여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아파트 배치를 조사하여 도로변에서 보이는

 scene 과 sequence 변화의 열쇄를 찾을 수 있다.






 4. 주변 경관 색채 조사 

타겟이 주거지역에 있을 경우, 인근에 아파트나 건축물이 많을 것이다.

Munsell Color System 과 같은 colorimeter (색채계)를 사용하여

분석, 참고한다.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면서도 개성있는 컬러를 찾을 수 있다.






5. 동선 및 조닝계획 

단지 내 동이 많은 경우

컬러 변화를 주어 조닝 (zoning) 계획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아파트 배치, 접근 방향, 동선을 고려하고

각 존마다 컬러의 의미를 찾아본다.






6. 대상지 색채계획 

조사,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색채계획에 들어간다.

색채 기본방향, 컬러 추출, 패턴 설정,

모티브 부여, 적용계획 순으로 진행한다.




7. 색채 시뮬레이션 

선택한 컬러를 여러 배색 방식을 고려하여

컬러 시뮬레이션 제작한다.







Created by. KCC Color & Design Center / Design 2 Team.















'Color&Design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랜트에서의 컬러  (0) 2014.10.01
2012 아파트 외관 트렌드 리뷰  (0) 2014.08.29
KCC 컬러스타일&아파트재도장  (0) 2014.08.29
마을색채_모로코,쉐프샤우엔  (0) 2014.08.29
마을색채_스페인,알바라신  (0) 2014.08.29